주민참여예산제 소개

주민참여예산제란?
주민이 시 예산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법적으로 보장하여 재정민주주의를 실현함으로써 지방재정 운영의 투명성‧공정성‧책임성을 강화하는 제도입니다.

운영근거

주민참여예산기구 구성현황

  • 주민참여예산위원회 - 인원 42명
  • 지역회의 : 133명

운영실적

>운영실적 - 연도별, 제안, 반영, 비고, 건수, 예산액(천원), 건수, 예산액(천원) 순으로 정보제공
연도별 제안 반영 비고
건수 건수 예산액(천원)
2015년 57건 28건 716,200 2016 회계
2016년 53건 40건 1,148,167 2017 회계
2017년 47건 43건 1,469,960 2018 회계
2018년 56건 47건 2,893,264 2019 회계
2019년 72건 43건 4,510,500 2020 회계
2020년 54건 102건 2,431,113 2022 회계
2022년 289건 93건 3,125,513 2023 회계
2023년 162건 18건 792,628 2024 회계
2024년 169건 36건 1,545,150 2025 회계
1063건 501건 22,826,495

추진절차

  1. 제안사업 접수
    4~5월(공모 집중기간 운영)
    바로가기
  2. 사업부서 검토
    6월
  3. 분과위원회&지역회의 심의·조정
    7월
  4. 예산적정성 심사
    7월
  5. 시민의견 수렴
    7월
  6.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심의
    8월
  7. 2026년 예산안 의회 제출
    10~11월
  8. 결과발표
    12월
    바로가기

연간운영계획

연간운영계획 - 구분, 추진내용, 추진 일정
구분 추진내용 추진일정
연간운영계획 수립
  • 주민참여예산제 연간 운영계획 수립 및 공고
~3월
주민참여예산기구 구성 및 운영
  • 제4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구성
  • 읍면동별 지역회의 구성
4~5월
역량강화
  • 예산학교 운영
3~12월
사업 제안 공모
  • 2026년 예산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사업 제안 공모
  • 읍면동별 지역회의 제안사업 발굴
4~5월 집중 접수

※ 6월 이후 접수분 차년도 심사

설문조사
  • 2026년 예산편성을 위한 설문조사
5월
제안사업 검토
  • 주민참여예산사업 현장실사
  • 소관부서 사업타당성 검토 및 사업구체화
  • 예산적정성 심사
6월
주민참여예산기구 사전심의
  • 분과별 위원회, 읍면동별 지역회의 심의 및 우선순위 조정
7월
시민투표
  • 심의 대상 사업 선호도 조사
7월
주민참여예산기구 최종심의
  •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최종 심의를 통한 사업 선정
8월
주민의견서 작성
  • 2026년 시 일반예산에 대한 주민의견서 작성 회의
10월
예산안 편성·확정
  • 위원회 선정 사업 의회 제출
11월
평가 및 환류
  • 주민참여예산사업 현장실사
  • 성과보고회

    ※ 주민참여예산 선정 결과 : 시 홈페이지 등 공개

11~12월

바로가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예산법무과
  • 문의 031-980-2118
  • 최종수정일 2025.04.2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지금 보고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