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수계수질오염총량관리
수질오염총량관리제란
- 수계를 단위유역별로 구분하고 단위유역 하천의 목표수질을 설정
-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한 단위유역별, 지방자치단체별 오염물질 할당부하량을 산정하고,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할당부하량 이내로 관리
- 배출부하량(오염원 및 지역개발부하량) 할당
단위유역별 할당 ⇒ 소유역별 할당 ⇒ 오염원별 할당 ⇒ 사업장별 할당
현행 | 변경 | |
---|---|---|
규제방식 | 오염물질농도 규제 농도 = mg/L | 오염물질의 총량 규제 오염부하량 = kg/일 |
오염물질 배출량을 할당받아야 하는 사업의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30조에 따른 관계기관 협의사업 (「환경영향평가법시행령」별표2 비고란 제3호가목에 해당하는 계획은 제외)
-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농어촌생활환경정비사업(집단화된 농어촌 주택, 공동이용시설 등을 갖춘 새로운 농어촌 마을 건설사업)
- 「건축법」제2조에 따른 3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 30세대 이상의 주택과 주택외의 시설물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사업
-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제3조제4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업무용 건축물, 판매용 건축물, 복합 건축물을 건축하는 사업
- 「환경영향평가법」제2조제4호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등의 대상사업
시행시기
2013. 6월 1일 부터
김포시 한강수계 범위
김포시 사우동․풍무동ㆍ감정동ㆍ걸포동ㆍ북변동ㆍ운양동ㆍ장기동ㆍ구래동ㆍ고촌읍(향산리ㆍ풍곡리ㆍ태리ㆍ신곡리ㆍ전호리)ㆍ하성면(마곡리ㆍ석탄리ㆍ후평리ㆍ시암리ㆍ마조리ㆍ가금리ㆍ양택리ㆍ원산리ㆍ하사리ㆍ봉성리ㆍ전류리ㆍ마근포리)ㆍ대곶면(거물대리ㆍ대능리ㆍ오니산리ㆍ율생리ㆍ초원지리)ㆍ양촌읍(구래리ㆍ누산리ㆍ석모리ㆍ양곡리ㆍ유현리ㆍ흥신리)ㆍ월곶면(개곡리ㆍ보구곶리ㆍ용강리ㆍ조강리)ㆍ통진면(도사리ㆍ마송리ㆍ서암리ㆍ수참리ㆍ가현리ㆍ동을산리ㆍ귀전리ㆍ고정리)
굴포 A 유역 해당지역 | 한강 J 유역 해당지역 | ||||||
---|---|---|---|---|---|---|---|
시도 | 시군 | 읍면동 | 점유율 (%) | 시도 | 시군 | 읍면동 | 점유율 (%) |
경기도 | 김포시 | 고촌읍(신곡리,전호리) | 5.77 | 경기도 | 김포시 | 북변동,걸포동,운양동,장기동,감정동,사우동,풍무동,구래동,통진읍,고촌읍,양촌읍,대곶면,월곶면,하성면 | 52.67 |
부천시 소사구 |
소사본동,심곡본동,송내동 | 35.43 | 고양시 덕양구 |
주교동,성사동,토당동,내곡동,대장동,화정동,신평동,행신동,행주내동,행주외동 | 29.64 | ||
부천시 오정구 |
오정동,여월동,작동,원종동,고강동,대장동,삼정동,내동 | 고양시 일산동구 |
식사동,중산동,정발산동,장항동,마두동,백석동,풍동,산황동 | ||||
부천시 원미구 |
원미동,심곡동,춘의동,도당동,약대동,소사동,중동,상동 | 고양시 일산서구 |
일산동,주엽동,탄현동,대화동,덕이동,가좌동,구산동,법곳동 | ||||
서울 특별시 |
강서구 | 외발산동,공항동,개화동,과해동,오곡동,오쇠동방화동 | 10.95 | 파주시 | 신촌동,송촌동,서패동,산남동,문발동,동패동,탄현면 | 9.30 | |
인천 광역시 |
남동구 | 간석동 | 47.85 | 인천 광역시 |
계양구 | 선주지동,이화동,오류동,갈현동,둑실동,목상동,장기동 | 8.39 |
부평구 | 부평동,십정동,산곡동,청천동,삼산동,갈산동,부개동,일신동,구산동 | ||||||
계양구 | 효성동,계산동,작전동,서운동,임학동,용종동,병방동,방축동,박촌동,동양동,상야동,하야동,평동,다남동 | 서구 | 마전동,당하동,원당동,불로동,대곡동,백석동 | ||||
서구 | 공촌동, 심곡동 |